주최
임실필봉농악보존회
전화번호
임실필봉농악보존회 063-643-1902, 2901
행사위치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강운로 272
행사장소
필봉문화촌 야외공연장 및 실내공연장
행사기간
4-6월 : 매주 목요일 또는 금요일 오후 1시 7-8월 : 매주 목요일 오후 8시 9-10월 : 매주 목요일 오후 1시
관람연령
전 연령 가능
예약처
필봉농악보존회 사무국 063-643-1902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된 농악을 대표하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1-5호 '임실필봉농악'에 다양한 전통문화체험이 결합한 <필봉 GOOD 보러 가세>는 계층과 세대를 넘어 공동체 문화 보급에 이바지한다. 소통과 신명, 화합과 나눔, 공동체 지향의 전통문화를 통해 도∙농간 소통과 화합을 모색할 뿐 아니라 전통문화의 세계화를 꿈꾼다. 특히, 해설과 함께하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농악"군영놀이"를 통해 우리 전통음악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고, 정감 있고 푸진 우리네 삶을 통해 임실을 ' 다시 찾고 싶은 곳, 우리 문화가 생솟는 곳'으로 알리고자 한다.
[무형유산 휴전음악극 "농자(農者)두레놀이"]
- 농경문화를 중심으로 발달한 지역의 문화는 공동체를 핵심으로 삶의 문화를 잉태하며 자연스럽게 자연숭배 문화로 전승된다. 오늘날 전통적 민간신앙은 현대문화에 밀려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었지만 우리네 삶의 규범이요, 마을 윤리요, 삶이었다. 또한 뿌리깊은 삶의 역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 대중문화의 변화의 물결에 휩쓸려 설자리를 잃어가기도 하지만 공동체 문화의 가치는 더욱 고귀해졌으며 대중과의 끈임없는 교감을 이루며 오래된 미래가 되어 우리 앞에 놓여있다. 무형유산 퓨전음악극 "농자(農者)두레놀이"는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볼수있는 가족음악극으로 잊혀져가는 전통사상과 두레놀이, 풍물놀이를 중심으로 음악극을 구성하였으며 관객이 보고 듣고 즐길수있는 참여형 공연이다.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농악"군영놀이"]
- 국가무형문화재 제11-5호 임실필봉농악은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필봉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400년 마을문화의 꽃이다. 농악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라 할 수 있는 단결과 화합, 그리고 공동체적 의식의 공유를 위한 민족 공통의 대표적인 마을연희문화이다. 그 중 농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개인놀이 부분을 공연작품으로 재 구성하여 화려한 전통문화의 꽃을 피우고자 한다.
[먹거리 체험]
- 떡메치기, 필봉 치즈피자 만들기
[만들기 체험]
- 손수건 만들기, 탈 만들기
[농악 체험]
- 필봉농악 배우기, 고깔 만들기, 캐릭터 만들기
무료(상설공연 프로젝트만 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