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나라골보리말마을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길 178 (창수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0.03km
인량리 전통테마마을
주소 : 경북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마을로부터의 거리 : 0.16km
구봉서원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577
마을로부터의 거리 : 0.8km
운산서원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길 110-14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km
영해 3.1 의거탑
주소 : 경북 영덕군 영해면 성내1리 산 49-1번지
마을로부터의 거리 : 2.36km
영해향교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8길 14-5 (영해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2.53km
괴시리 전통마을
주소 :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1리
마을로부터의 거리 : 2.57km
운계서원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거무역2길 22 (병곡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2.68km
신돌석장군 생가 및 유적지
주소 : [생가] 경북 영덕군 축산면 신돌석장군1길 31
[유적지]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신돌석장군길 218
마을로부터의 거리 : 2.93km
위치
[생가] 경북 영덕군 축산면 신돌석장군1길 31
[유적지]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신돌석장군길 218
문의 및 안내
신돌석장군유적지관리사무소 054-734-6397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 신돌석 장군 생가
조선 말기에 기울어가는 나라를 구하려고 일어선 의병장들은 많지만 신돌석 장군(1878~1908)처럼 약관의 나이에 평민으로서 의병대장이 되어 활약한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신돌석 장군은 을사조약 다음해인 1906년에 의병을 일으켜 영해,
영덕, 평해에서부터 삼척, 양양, 강릉, 원주, 안동, 영양 등 경북 북동부와 강원
도 일대까지 신출귀몰하며 왜군에 저항했던 의병장이다.
이 초가집은 '태백산 호랑이'라는 별칭을 얻을 만큼 큰 활약을 벌인 장군의 구국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5년에 복원되었다. 학생들의 문화 유적 탐방 코스로 사랑받고 있다.
* 신돌석 장군 유적지
신돌석장군에 대한 각종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수집, 보전, 전시하여 장군의 넋을
기리고 항일정신을 되새겨보는 역사교육의 전당으로, 1999년 11월 18일 개관하게
되었다.
이 유적지에는 충의사, 동재, 서재, 외삼문, 내삼문, 기념관, 관리사무소, 주차장, 화장실 등의 주요시설이 있다.
* 신돌석 장군 약력
본관은 평산(平山), 자(字)는 순경(蕣卿)이고, 호(號)는 장산(壯山) 본명은 태호(泰鎬)이다.
이명(異名)은 돌석(乭石), 태홍(泰洪), 태을(泰乙), 대호(大浩)이며, 태백산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878년(고종 5년) 11월 3일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당시는
영해군 남면 복평리)에서 출생하여 퇴계(退係)의 방계인 육이당(六怡堂)이중립(李中立)에게 학문을 배웠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으로 전국에서 의병이 봉기하자 10여명의 동지를 규합하여 영해 의병진을 창군, 활약하다 1896년 고종황제의 명으로 해산했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이 일제에 의해 강제체결되어, 전국에서 의병이 봉기하자 1906년
3월 장군도 영릉의병진(暎陵義兵陳)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다시 창군하니 각처에서 모여든 동지가 300명이 넘었다 한다. 그 때 장군의 나이 29세였다. 장군은 최고 3000여 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경상남북도, 강원도, 충청도에 걸친 넓은 지역에서 항쟁한 의병장이기도 했으나, 일월산, 백암산, 대둔산 등지에 요새를 두고 소수정예로 적을 섬멸하는
게릴라전에도 능했다.1907년 이인영(李麟榮) 13도창의총대장으로부터 경상남북도를 합친 교남창의대장으로 추대되어 서울 공략전에 참여했으나 평민이란 이유로 배제되었다. 1908년 11월 18일 엄동설한을 앞두고 굳게 믿었던 부하의 손에 무참히 살해되어 31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으며, 1971년 장군의 유해가 국립묘지유공자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1995년 도곡리에 생가가 복원되었고 1999년 장군의 혼이 어린 자리에 장군의 항일 정신을 길이 후대에 남기고 빛내기 위해 성역화 공원과 기념관이 세워졌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