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천하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101

옥천군

  • 위치

    충북 옥천군

  • 문의 및 안내

    옥천군청 043-730-3114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경상북도 상주시, 서쪽은 대전광역시, 남쪽은 영동군과 충청남도 금산군, 북쪽은 보은군과 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537.06㎢이며 총 인구가 52,599명(2014년 6월 기준)에 이른다. 1읍 8면 125법정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옥천읍 삼양리이다.

* 자연환경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갈라지는 중간에 위치하며 대부분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에는 천금산, 팔음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에는 환산, 마성산, 남쪽에는 월이산, 북쪽에는 금적산이 솟아있어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옥천읍을 중
심으로 산간 분지가 발달되어 있다.
하천은 보은군에서 발원한 보청천이 남서류하여 군 중앙에서 금강에 합류하며
군의 서부를 곡류하여 대전광역시로 흘러간다.
* 역사
고대 - 본래 옥천, 청산, 이원, 안읍을 합한 군으로 옥천은 신라때 고시산군,
청산은 굴산현, 이원은 소리산현, 안읍은 아동혜현이었다가 757년(경덕왕16)
관성군, 기산현, 이산현, 안정현으로 각각 개칭되었고, 뒤에 기산현은 삼년군
(지금의 보은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 고려 초에 기산현은 청산현으로 개칭되었고 상주에 속하였으며 안정현은 안읍현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현종 9) 관성군, 이산현, 안읍현이 경산부(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의
관할이 되었으며 1143년(인종21)관성군이 현으로 강등되어 현령이 파견되었다.
조선 - 1413년(태종13) 옥천군으로 개칭되었고 청산현과 함께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이관되었다.
근대 - 1895년 공주부 옥천군.청산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896년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군이 되었고, 1914년 청산군이 옥천군에 통합되었다.
1929년 이내면과 이남면을 합해 이원면으로 고치고 청서면과 청남면을 합하여
청성면으로 고쳤다.

현대 - 1949년 옥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 이원면 우산리가 동이면으로, 안낭면 오덕리, 인포리와 군북면 장계리가 안내면으로, 안내면 용호리,막
지리가 군북면으로 편입되었다.
1989년 안내면 오덕리 일부가 보은군 삼승면에 편입되었다.
1990년 4월 1일 안남면 오대리와 안내면 장계리일부가 옥천읍으로 편입되었다.

* 문화
문화재 - 조헌과 칠백의병의 넋을 기리는 향토예술제인 중봉충렬제는 옥천문
화원 주관으로 매년 개최되며 주요 행사로 조헌의 추모제, 봉축회, 민속행사,
백일장 등이 있다.
민속 - 정월 보름날 저녁에 짚을 가지고 마을 뒷산에 올라가 소나무 가지와
짚으로 조그마한 집을 만들어 놓고 불놀이를 하다가 보름달이 떠오르면 짚을
태우면서 달구경을 하는 달집태우기 놀이가 있다.
동제 - 마한시대 소도신앙의 흔적으로 보이는 탑신제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된 제신탑이 있는 동이면 청마리의 탑신제가
대표적이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옥천군청 http://www.oc.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