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농업박람회 2019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세남로 1508 (산포면)
2019-10-17~2019-10-27
마을로부터의 거리 : 1.06km
남평향교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평향교길 45-12
마을로부터의 거리 : 2.35km
나주 배마을
주소 : 전남 나주시 금천면 일대
마을로부터의 거리 : 3.54km
부용정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3.9km
죽림사(나주)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풍림죽림길 255 (남평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4.25km
남평역(나주)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동촌로 313
마을로부터의 거리 : 4.28km
나주호
주소 : 전남 나주시 다도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4.39km
영산강 문화장터 2019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길 90 (승촌동)
2019-03-16~2019-06-09
마을로부터의 거리 : 4.55km
영산강문화제-누정 2019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길 90
2019-10-01~2019-10-31
마을로부터의 거리 : 4.55km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문의 및 안내
광주 남구청 문화관광과(문화재) 062-607-2332
이용시간
24시간
쉬는날
연중무휴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 광주지역 향약이 처음 시행된 곳, 부용정 *
부용정은 고려말 조선초에 활동한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이 지은 정자로 평야가 펼쳐져 있는 평지에 2단으로 대지를 고른 후 건립되었다.
정자의 이름은 연(蓮)을 꽃 중의 군자(君子)라고 칭송하였던 북송(北宋) 주돈이(周敦
)의 애련설(愛蓮設)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광주지역 향약의 시행장소로
매우 유서가 깊은 곳이다. 또한 그는 이곳에서 이시원(李始元), 노자정(盧自亭) 등과
학문을 논하고 시를 읊기도 하였다.
건물은 정·측면 다같이 3칸으로 기둥머리에
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다. 우물마루를 깐 맞배지붕으로 민흘림기둥을 세웠으며 홑처마이다.
기단은 네모 막돌 바른층 쌓기를 하였으며, 좌우 가운데를 제외하고는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았다. 사방은 벽이 없이 개방된 공간이며, 천장은 연등천장을 하였고 연골벽은
회반죽으로 마감하였다. 이곳에는 부용정 현판과 양응정(梁應鼎), 고경명(高敬命),
이안눌(李安訥), 박제형(朴濟珩) 등 후대 명유(名儒)들의 누정제영(樓亭題詠)을 새긴
편액이 많이 걸려 있다.
정자 주변에는 칠석(漆石)마을 고싸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전수관과 부용이 심었다는 은행나무(기념물 제 10호)가 있고, 부용정의 내력이
쓰인 부용정석비(芙蓉亭石碑 1984년 건립)가 있다.
* 풍속 교화에 힘쓴 김문발에 대하여 *
김문발은 본관은 광산, 호가 부용(芙蓉)으로 고려말
조선초에 왜적을 물리친 공이 매우 크며 전라감사(全羅監司),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형조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1418년(태종 18년) 낙향하여 여씨(呂氏)의
남전향약(南田鄕約)과 주자(朱子)의 백록동규약(白鹿洞規約)을 모방하여 풍속 교화에
힘썼는데, 이것이 광주 향약좌목(鄕約座目)의 유래가 되었다.
없음
불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