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고서원
주소 : 경북 영주시 단산면 사천1리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4km
영주 순흥 벽화 고분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547-16
마을로부터의 거리 : 2.31km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회헌로1010번길 23-49 (순흥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2.31km
풍기인견 홍보전시관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신재로 846
마을로부터의 거리 : 2.45km
풍기향교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금계로 104
마을로부터의 거리 : 2.46km
영주 순흥 어숙묘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산 95
마을로부터의 거리 : 2.63km
경북영주 풍기인삼축제 2020
주소 : 온라인개최
2020-10-09~2020-10-18
마을로부터의 거리 : 2.98km
소수서원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마을로부터의 거리 : 3.21km
영주 금성대군 신단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2767번길 28 (순흥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3.32km
1985년 1월 문화재관리국과 대구대학교가 함께 발굴 조사한 이 벽화 고분은 사적 제3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학술적, 문화재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 고분의 축조연대는 고분의 현실(玄室)남쪽 벽에 쓰인 기미중묘상인명(己未中墓像人名)이란 글씨를 통하여 대략 539년쯤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부구조는 연도가 마련된 석실분(石室墳)으로서 연도를 통해 들어가면 시신을 모신 현실이 있고, 이 현실의 동쪽으로 관을 올려놓았던 관대(棺臺)가 비교적 높게 마련되어 있으며, 아울러 규모가 작은 보조관대도 현실의 서북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었다. 현실의
크기는 동서 약 3.5m, 남북 약 2m로 네 벽은 위로 갈수록 약간씩 각을 줄여쌓고 천장은
두 장의 판판하고 큰 돌을 올려 완성하였다. 벽화는 천장을 제외한 내부의 모든 벽면과
관대의 측면까지 채색화(彩色畵)를 그렸고, 특히, 연도의 좌우 벽에 힘이 센 장사상(壯士像)을 그렸다. 특히, 연도 서쪽벽의 뱀을 손에 감고 있는 장사상은 이 무덤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고분은 벽화나 구조로 보아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축조된 고대신라의 고분벽화로 추정되어지며, 이 고분에 있는 벽화를 통해서 우리나라 삼국시대 회화는 물론 당시의 종교관, 내세관, 그리고 고구려와의 문화교섭 등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5세기까지 고구려의 영향력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이 지역에 침투했음을 잘 알려주는 유적으로, 현재 학자들의 새로운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