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정 벽화마을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마비정길 259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0.06km
용문사(대구)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화원휴양림길 132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0.67km
남평문씨본리세거지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1km
수봉정사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3km
인흥서원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인흥2길 26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4km
인흥마을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화원읍)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6km
대구수목원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42 (대곡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1.78km
첨모재·사효당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곡로26길 17-39 (상인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14km
임휴사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12-25 (상인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42km
남평문씨의 중시조로 알려진 삼우당(三憂堂) 문익점(文益漸)의 후손이 대구에 입향한 것은 대체로 500년 전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곳 인흥에 자리를 잡은 것은 그의 18세손인 인산재(仁山齋) 문경호(文敬鎬, 1812~1874) 때이다. 그는 문씨만의 마을을 만들 것을 계획하고 원래 고려의 대찰(大刹)인 인흥사가 있었던 자리에 터를 잡아 오늘의 인흥마을을 새로 열었다고 한다.
세거지에 최초로 건립한 건물은 1820년을 전후해서 지은 재실 용호재(龍湖齋)로 현재 광거당이 있는 곳이다. 저택이 들어선 것은 1800년대 후반으로 처음에는 초가로 시작했으나 그후 100년에 걸쳐 지금의 세거지가 형성되었다. 현재 70여채의 기와집이 한울 안에 정연히 들어서 있는 이마을은 건축연대가 200년 미만이지만 전통적인 영남지방 양반 가옥의 틀을 지키고 있으며, 세거지 구성과 주위 경관의 조화는 어느 곳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마을이라 하겠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