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솔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118

동래향교

  • 위치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03 (명륜동)

  • 문의 및 안내

    동래향교 051-552-4160
    동래구청 문화공보과 051-550-4082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1392년(태조 1) 지방에 향교를 지어 유생의 교육에 힘쓰라는 태조의 교서를 받들어 태조 때 와성(臥城, 지금의 동래고등학교 자리)에 설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605년(선조 3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중건되었다. 중건 당시에는 읍성(邑城) 동문(東門) 밖 지금의 동래고등학교 자리에 있었으나, 1705년(숙종 31)에 부(府) 동쪽 관노산(官奴山) 아래로 옮겼다가, 1745년(영조 21)에 동문 밖으로 다시 이건하였다. 그 뒤 1785년(정조 9)에 내곡동(內谷洞: 지금의 화성초등학교 자리)으로 이전하였으며, 1812년(순조 12)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반화루(攀化樓)·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좌우협문(左右夾門) 등이 있으며, 향교 밖에는 역대 부사들의 흥학비군(興學碑群)을 비롯하여 하마비(下馬碑) 등이 있다. 이 향교의 건물 배치는 문묘와 명륜당이 동서로 구분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좌측의 반화루를 들어서면 정면에 명륜당이 있고, 그 좌우 뜰에 동서 양재가 있으며, 우측의 외삼문을 들어서면 다시 내삼문이 있고, 이를지나 대성전과 동서 양무에 이르게 된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서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70인 정원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 석전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체험안내

청소년충효인성(인성과 충효 및 예절 교육)

주부인성교육(사자소학, 명심보감 등. 고전을 통한 인성지도자교육)

예절지도자(국가공인 예절 지도사 자격증 반)

사서(四書)반(논어, 맹자. 대학, 중용 강독)

삼경(三經)반(시경, 서경, 주역 강독)

한국사반(한국사 토론광장)

한자 및 한문 반(한자와 한문의 기초)

서예 반(예서 행서 초서 연습)

주차시설

있음

유모차대여 여부

불가

애완동물 가능 여부

불가

홈페이지

부산의 유림 http://www.busanurim.org 부산 동래구 문화관광 http://tour.dongnae.go.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