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하지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61

마곡사(공주)

  • 위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사곡면)

  • 문의 및 안내

    마곡사 041-841-6220~3
    템플스테이 041-841-6226

  • 이용시간

    일출~일몰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 여러 시대의 불교 유산이 있는 곳, 마곡사 *
“마곡사 사적입안(事蹟立案)”의 기록에 따르면,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자장(慈藏)이 창건하였으며, 고려 명종(明宗) 때 1172년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수하고, 범일(梵日)이 재건하였으며, 다시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고, 순각(淳覺)이 보수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세조가 이 절에 들려 ‘영산전(靈山殿)’이라고
사액(賜額)을 한 일이 있다.
창건 당시에는 30여 칸의 대사찰이었는데, 현재는
대웅보전(보물 801)·대광보전(大光寶殿:보물 802)·영산전(보물 800)·사천왕문·해탈문(解脫門)
등이 있을 뿐이다. 이 밖에 사보(寺寶)로는 5층 석탑(보물 799)·범종(梵鐘:지방유형문화재
62), 괘불(掛佛) 1폭, 목패(木牌), 세조가 타던 연(輦), 청동 향로(지방유형문화재
20)가 있고, 《감지금니묘볍연화경(紺紙金泥妙法蓮華經)》 제6권(보물 270) 및 《감지은니묘법연화경》
제1권(보물 269)이 있다.
금물이나 은물로 베껴 쓴 필사 불경들이 지금도
여러 점 전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려후기 불교문화의 대표적 유산이기도 하다. 이
절과 관련해서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이 일대가 조선조 십승지지, 즉 전란기에 위험을
피할 수 있는 특별한 지역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졌다는 것이다.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도
마곡사는 임진왜란의 전란을 피하였으며, 한국전쟁 때도 병화를 입지 않았던 것으로
전한다.

* 마곡사의 역사 *
마곡사의 이름은 신라 보철화상이 설법 전도할 때
모인 신도가 삼밭의 삼대 같다고 하여 마곡사라 지은 것이라 한다. 절에서 내려오는
얘기로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2년)에 자장 율사가 창건하여 고려 보조국사가 재건하였다
하나, 그 처음 연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고 전하는 연대에 문제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선덕여왕 12년은 백제 멸망이전 백제 의자왕 2년에 해당한다.
만일 642년 창건이 사실이라면, 의자왕 2년으로
전해져야 하는데 적대관계의 신라 연대로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문화재 정보]
마곡사5층석탑(보물 799호) / 마곡사영산전(보물
800호) / 마곡사대웅보전(보물 801호) / 대광보전(보물 802호) /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1(보물 269호) /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6(보물 270호) / 천왕문(문화재자료 62호)
/ 응진전(문화재자료 65호) / 명부전(문화재자료 64호) / 동제은입향로(문화재자료
20호) / 해탈문(문화재자료 66호) / 동종(문화재자료 71호) / 심검당 및 고방(문화재자료
135호) / 국사당(문화재자료 63호) / 세조대왕가마(문화재자료 14호) / 괘불(문화재자료
345호)  

체험안내

[템플스테이]



(당일형) 수리수리숲소리 템플라이프

- 사찰에 당일로 머물면서 사찰내의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사찰 순례, 연등 및 염주만들기, 다도, 포행, 스님과의 대화 등 선택해서 체험할 수 있음




(휴식형) 수리수리숲소리 자율휴식형 템플스테이
- 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일상에서 벗아나 진정한 휴식을 취하는 프로그램




(체험형) 수리수리숲소리 템플스테이

- 사찰안내 및 사찰예절습의, 108 염주만들기, 공양, 범종체험, 명상, 스님과의 대화, 발우공양, 포행 등 진행



예약 문의) https://www.templestay.com/

  - 템플스테이 사무실 041-841-6226

주차시설

있음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불가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