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서원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99
마을로부터의 거리 : 0.09km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산 234-1
마을로부터의 거리 : 0.42km
천전리공룡발자국화석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산210
마을로부터의 거리 : 0.49km
천전리각석계곡(울산)
주소 : 울산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마을로부터의 거리 : 0.76km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
마을로부터의 거리 : 2.29km
울주 천전리 각석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각석길 70-52
마을로부터의 거리 : 2.42km
선바위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동로 160
마을로부터의 거리 : 3.65km
천상/회야정수장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당앞로 14-50
마을로부터의 거리 : 3.83km
고헌산(울산)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 상북면, 두서면 / 경북 경주시 산내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3.89km
바위 위나 큰 절벽, 동굴 안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기, 새기기, 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을 바위그림, 암각화(巖刻畵)라고 한다. 바위그림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지만, 전형적인 사례들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주로 찾아진다.
바위그림은 대개의 경우, 풍요, 다산 제의의 산물로 이해되고 있다. 이 바위는 상부에 면쪼기로 나타낸 사슴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동물과 선쪼기로 나타낸 다양한 기하무늬가 있고, 하부에 여러 명문(銘文)과 가는선긋기에 의한 인물 및 동물상 등이 있어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상부의 마름모꼴무늬, 굽은무늬, 둥근무늬, 우렁무늬, 사슴, 물고기, 새, 뱀,
사람 얼굴상 등은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당시의 풍요의식과 관련된 표현으로 해석된다. 하부의 기마행렬, 배의 항해 모습, 용, 말, 사슴그림, 300여 자의 명문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사람들이 남긴 것으로 신라사람들이 삼국시대 이래 이곳을 성지(聖地)로 여겼음을 짐작하게 한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