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우리체험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37

정선군

  • 위치

    강원 정선군

  • 문의 및 안내

    정선군청 033-562-3911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강원도 남동부에 위치한 정선군은 동쪽은 동해시와 삼척시, 서쪽은 평창군, 남쪽은
태백시와 영월군, 북쪽은 강릉시와 평창군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면적은 1,219.93㎢이고, 인구는 39,698명(2014년 4월 기준)이다.
4읍 5면 180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정선읍 봉양리이다.
자연환경
태백산맥 가운데 위치하여 사방이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어서 겨우 한강 연안의 계곡에만 좁고 긴 평지가 있을 뿐이다.
동쪽에 중봉산,문래산, 서쪽에는 가리왕산,청옥산, 남쪽에는 예미산,백운산,함백산,
북쪽에 노추산,석병산,박지산, 중앙에 민둥산,고양산 등 곳곳에 해발 1,000m내외의
산들이 산재해 있다.
이러한 산들에서 발원하는 여러갈래의 물줄기가 모여 남한강이 되어 영월군으로 흘러든다.
* 역사
고대 - 고구려때인 668년(보장왕27) 잉매현이라 불리다가,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16) 지금의 이름인 정선으로 개명되어 명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 940년(태조23) 삼봉으로 불리었고, 1018년(현종3) 주진군으로 개칭되었다.
1291년(충렬왕17) 도원군으로 되었다가 1310년(충선왕2) 심봉군으로 개칭되고, 1353년(공민왕2) 다시 정선군으로 환원되었다.
조선 - 고려말의 정선군을 계승하여 오다가, 1466년(세조12) 원주의 관할령이 되었으며, 그 이듬해에 정선군으로 부활되어 조선말까지 계승되었다.
근대 - 1895년 강원도에서 충주부 관할로 이전되었고 다음해에 다시 강원도의 관할이 되었다. 1906년 강릉군 임계면, 도암면과 평창군 신동면이 정선에 편입되었다.
1924년 서면이 정선면에 병합되었고, 1931년 도암면이 편입되었으며,1935년 정선면
일부가 평창군 진부면에, 신동면 일부가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되었다.
현대 - 1948년 신동읍 조동리에 대한석탄공사 함백광업소가 문을 열게 되면서 이
지역의 탄광개발이 시작되었다. 1980년 신동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85년 사북읍이 고한읍과 사북읍으로 나뉘었으며,1986년 북면의 북평출장소가 북평면으로 승격되었다.


* 문화
문화제 - 1976년 9월부터 매년 가을 3일동안 실시되는 정선아리랑제는, 첫날 고려유신으로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하여 이곳 정선에 은거 하였으며 '정선아리랑'과도 연관이 있는 전충신의 묘제를 지내며, 묘제가 끝나면 가장행렬단이 시가지를 누비고 저녁에는 등불놀이가 거행된다.
정선 아리랑제의 절정은 정선아리랑 경창대회인데, 출연자에 제한은 없으며 성적에
따라 시상도 하는데, 이는 단순한 경창에만 뜻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정선아리랑의
본고장에서 원형 유지와 전승을 지키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 밖에도 아리랑무용발표회, 여고생매스게임, 학생백일장 등이 거행되며, 민속행사로는 그네뛰기, 국악연주회, 씨름대회, 각 부락 대항 농악 경연대회가 있다.
민속 - 연날리기, 윷놀이, 널뛰기, 놋다리밟기, 줄다리기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놋다리밟기는 대보름날 밤에 처녀들이 달맞이한 후 하는 놀이로, 처녀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여 일렬로 앞사람의 허리를 붙들고 몸을 구부려 다리를 만들면, 선출된 아름다운 소녀가 이들의 어깨를 밟고 건너간다.
동제 - 서낭당이 남아있는 곳이 많아 '당고사'라 불리는 서낭당제를 지낸다. 대부분의 제가 정월과 3월 중에 거행되며, 당사가 없는 곳에서는 신목이나 신단에서 제를 지낸다. 서낭제는 신앙 행사가 주된 내용이기는 하지만, 정선에서는 신앙 행사 외에 동리의 일까지 맡고 있어, 동회의 성격을 지닌 지역회의가 열려 마을의 대소사를 비롯한 공동문제가 토의된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정선군청 http://www.jeongseon.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