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곡오색별빛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76

경남 창녕군

  • 위치

    경남 창녕군

  • 문의 및 안내

    창녕군청 055-530-1000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경상남도 북부 중앙에 있으며, 동쪽은 밀양시, 서쪽은 합천군과 의령군, 남쪽은 창원시와 함안군, 북쪽은 고령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청도군에 접해 있다.
면적은 532.88㎢이며 인구는 63,460명(2015년 1월 기준)이다.
2읍 12면 139리로 되어있고, 군청 소재지 창녕읍 교리이다.

* 자연환경
북동쪽이 높고 남서쪽이 낮으며, 북동부의 군경계에는 높고 험한 비슬산맥이 남쪽으로 뻗어 수봉산, 화왕산, 관룡산 등 준봉이 잇달아 솟아 있다. 서부에는 구룡산,
성지산, 고운봉 등 해발 200m 내외의 구릉이 북부와 동부의 산지와 계속 연결되어
있으며, 북동부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토평천, 운봉천, 계성천 등의 작은 하천들이
계곡을 형성하면서 낙동강에 유입된다.
이들 하천연변에 평야가 형성되고, 특히 남지 일대에는 낙동강과 남강이 합류하여
비옥한 충적평야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늪과 못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며, 농사용 저수지까지 합하면 더 많다.
특히, 우포늪은 국내 최대의 자연늪지로 국립자연사 박물관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역사
고대 - 555년(진흥왕16) 신라가 빛벌가야를 병합하고 이곳에 하주를 설치하여, 군사상의 전진기지로 삼았으며, 561년(진흥왕26) 진흥왕척경비를 세웠다.
그 뒤 565년(진흥왕26) 하주가 합천으로 옮겨져 대야주가 됨으로써 비사벌군 또는
비자화군이라 불리게 되었다.
757년(경덕왕16) 화왕군으로 다시 개칭되고 현효현을 영현으로 삼았으니, 지금의
달성군 현풍면 지역이다. 또한 같은 해에 지금의 영산면 지역이 본래 서화현에서
상약현으로 개칭되어 밀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 940년(태조23) 화왕군이 창녕군으로, 현효현이 현풍현으로 각각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9) 창녕군과 현풍현이 밀성군의 속현으로 되었고, 같은 해에 계성현도 밀성군의 속현이 되었다.
그 뒤 1172년(명종2) 창녕군에, 1274년(원종15) 영산현에 각각 감무가 파견되었으며, 1366년(공민왕15) 계성현이 영산현에 합쳐졌다가, 1390년(공양왕2) 다시 밀성군으로 이속되었다.
조선 - 1394년(태조3) 계성현이 다시 영산현에 합쳐졌으며 1414년(태종14) 창녕군이 창녕현으로 강등되면서 감무를 현감으로 고치는 규례에 따라 창녕현과 영산현에 현감이 파견되었다.

근대 - 1895년 대구부에 속하고 창녕현과 영산현이 모두 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896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군이 되었다.
1914년 영산군이 창녕군에 편입되고 영산군 읍내면은 영산면으로 되었다.
현대 - 1960년 창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63년 남지면도 읍으로 승격되었다.
* 문화
문화제 - 영산3·1민속문화제는 영산면 일대에서 3.1절에 열리는 민속문화제이다. 영산지방은 1919년 기미독립운동 때, 독립운동을 주도한 곳으로 해마다 3.1절이 되면 그날의 민족정신을 되새기며 민족문화유산의 계승, 발전을 다짐하는 문화제를 개최한다. 영산지방 고유의 민속놀이인 영산쇠머리대기와 영산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향토민속경연대회가 다채롭게 펼쳐지며, 문화예술 행사는 전야제인 '3.1
문화의 밤' 과 식전행사 및 문화예술 분야의 각종 실기대회와 전회가 열리고 군민 체육대회도 개최된다.
이 밖에도 비사벌문화제 및 군민의 날 행사(매년 10.7~9), 화왕산 갈대제(매년 10월중 토, 일요일), 부곡온천제(매년 9월 중순경 3일) 등이 있다.
민속 - 대합면 십이리의 농악, 이방면 이화농악과 영산면의 문호장굿, 영산 쇠머리대기, 영산줄다리기, 구계목도놀이가 대표적이다.
문호장은 이곳에서 신인으로 추앙되는 인물로, 단오날에 그를 추모하는 굿이 거행된다.
동제 - 아직도 동제를 지내는 곳이 많으며 서낭대를 가지고 있는데가 많다.
대표적인 당집으로 창녕읍 옥천리와 영산면 성내리에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창녕읍과 계성면의 신당리 등 당집과 관련된 지명도 많다.
제일은 음력 정월보름날이 가장 많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창녕군청 http://www.cng.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