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평촌마을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평촌길 15 (충효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08km
충효동 왕버들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1021
마을로부터의 거리 : 0.39km
담양 소쇄원
주소 :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소쇄원길 17 (남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0.67km
무등산수박마을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236-3 (금곡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68km
광주 충효동 요지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4 (금곡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72km
환벽당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길 10 (충효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82km
환벽당 ·조대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길 10 (충효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83km
충효동 정려비각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83km
광주호 호수생태원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7 (충효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93km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4 (금곡동)
문의 및 안내
무등산 분청사기 전시실 062-266-4693
이용시간
09:00~18:00
쉬는날
매주 월요일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삼강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이다.
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 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 굴뚝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둥근 무덤 형태가 연결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과 출토유물의 연도를 통해 1430년을 전후해 만들어지기 시작된 것으로 보고있다. 그 후 약 70~80년간 자기제작이 지속되다가 16세기 초에 중단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기에는 분청사기만 만들다가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같이 제작했으나, 분청사기 무늬가 조잡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반면 백자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질이 좋아지고 생산량도 늘어 분청사기가마에서 백자가마로 성격이 바뀌었다. 백자는 크기가 작은 것이 주를 이루는데 비해 분청사기는 크고 작은 것이 모두 있고, 종류도 접시·종지·잔·병·항아리·제기·벼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된 무늬는 국화·나비·물고기·게·구름무늬 등이며 여러 무늬를 조합하여 그리기도 했다.
광주 충효동 요지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운영되었던 곳으로, 청자부터 분청사기를 거쳐 백자로 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주차 가능
불가
불가
광주 북구 문화관광 http://culture.bukgu.gwangju.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