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충남 서천군
문의 및 안내
서천군청 041-950-4114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충청남도 남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부여군, 서쪽은 서해, 남쪽은 금강을 경계로 전라북도 군산시, 북쪽은 보령시와 접하고 있다.
예로부터 한산의 세모시로 유명하였고, 아직도 대부분의 지역이 전통적인 농촌과 어촌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전체 면적은 358㎢이며, 총 인구가 57,595명(2015년 1월 기준)에 이른다.
2읍 11면 315리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서천읍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 자연환경
대부분의 지역이 준평원화된 평탄한 평야(서천평야)로 되어 있으며, 이 평야는 호남평야와 금강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보령시과 부여군의 경계에 장태산, 원진산, 노고산, 석천산 등이 있고, 군내에 천방산, 희리산, 월명산 등 해발 300m 내외의 산이 있다.
원진산에서 발원한 도마천이 봉선지에서 한산천과 합류하여 길산천을 이루어 금강에
유입되며 판교면 북동부에서 발원한 판교천이 흥림저수지를 거쳐 남류하다가 장구만으로 유입, 서해로 흐른다.
이들 하천유역에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진다.
기후는 같은 위도의 내륙에 비해 온화한 편이다.
* 역사
고대 - 마한시대에 비미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삼국시대에는 서천읍이 백제의
설림군이었으며, 한산면에는 마산현이, 종천면에는 비중현이 있었다. 그 후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756년(경덕왕15)에는 서림군이라 하였고 한산면은 가림군의 영현이
되었으며, 비중현은 비인으로 개칭되어 가림군에 속하였다.
고려 - 한산은 고려시대에 붙여진 이름으로 뒤에 지한주사로 승격 하였으며, 비인은
1018년(현종9)에 가림현에 속하게 되었으며 뒤에 따로 감무를 두었다.
조선 - 1413년(태종13)에 서천군으로 고치고 한산현을 한산군으로 승격시켰으며, 비인은 비인현으로 하여 홍주진관에 속하게 하였다가 그 뒤 비인군이 되었다.
근대 - 1913년에는 서천군, 한산군, 비인군이 합쳐 서천군이 되었다.
1930년 장항항이 개항하였고 1931년에는 장항선 철도가 개통되었다.
1938년 서남면 일부와 마동면 일부를 장항면에 편입시켰다.
현대 - 1973년 마서면 남산리가 서천면에, 화양면 구동리가 한산면에 기산면 이사리와 한산면 송림리가 마산면에, 종천면 홍림리가 판교면에 편입되었다.
1979년 서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3년 문산면 등고리와 금덕리가 판교면에
편입되었다.
* 문화
행사 - 서천의 특산품인 한산모시의 원산지 부각과 전통문화의 육성 발전은 물론 군민의 화합을 위해 1989년부터 매년 한산모시문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행사내용으로는 저산팔읍 길쌈놀이 시연과 함께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민속 - 논농사일이 끝나고 나서 온 마을 사람들이 떡을 만들고 술을 빚어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즐기는 놀이인 풍년제가 있으며, 한산면 일대에서는 농한기를 이용, 경연회를 벌여 모시길쌈의 전과정, 모시의 품질검사 등을 연출하는 길쌈놀이를 하였다.
이 밖에 한산굿놀이는 백제 때부터 한산지방에 성행한 농악과 가면극으로 구성된 놀이로 음력 8월 보름에 농부들이 즐긴다.
동제 - 서면의 띠뱃놀이와 동백정의 당제 등이 전승되어 오는데, 서면의 띠뱃놀이는
해안 일대에 전승되는 놀이겸 집단제의로서 음력 정월 초에 풍어와 행상에서의 안전
조업을 위해 거행되는 의식이다.
한편 서면 마량리의 당제는 약 500년간 지속되고 있는데 동백정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에 모여서 제를 지낸다. 이 당제는 용왕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