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경북 상주시
문의 및 안내
상주시청 054-533-2001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예천군과 의성군, 서쪽은 충청북도 괴산군과 보은군, 남쪽은 김천시와 구미시, 북쪽은 문경시와 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이 1,254,83㎢이며 총 인구가 102,753명(2015년 1월 기준)에 이른다.
1읍 17면 6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시청소재지는 남성동이다.
* 자연환경
시의 동쪽은 남류하는 낙동강 상류를 따라 분지와 저지가 발달하였고, 서쪽은 소백산맥을 끼고 있어 서고동저의 지세를 이룬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동부에 노음산과 갑장산, 서부에 속리산, 형제봉, 팔음산, 포성봉, 남부에 국수봉, 북부에 남산, 작약산 등이 있다.
하천으로는 낙동강이 시의 동부를 남류하는데, 이안천이 시의 북부를 동류하고 북천과 남천이 시의 중앙을 관통하며 위천이 의성쪽으로 흘러 각각 낙동강에 합류한다.
* 역사
고대 - 이곳에 있는 사벌국이 3세기 후반 신라에 병합 되었으며, 524년(법흥왕11)
상주가 설치되고 군주가 파견되었다.
557년(진흥왕18) 상락군이 되었으며 687년(신문왕7) 사벌주가 되었다.
고려 - 940년(태조23) 다시 상주로 개칭되었으며, 이어 안동 도독부로 고쳐졌다가
983년(성종2) 상주목으로 되었다.
한편, 오늘날의 문경 일대를 영속하고 있던 함창 지역은 이 때 고령군이 되었다가
964년(광종15) 함녕군으로 고쳐졌고 1018년(현종9) 함창군으로 바뀐 뒤 1172년(명종2) 감무가 파견되었다.
조선 - 408년(태종8) 상주에 경상도 감영이 두어져 경상도 감사가 상주목사를 겸하였고 함창에는 1413년(태종13) 현감이 파견되었다.
근대 - 1895년 상주목은 상주군으로, 함창현은 함창군으로 되어 안동부에 속하였다. 1914년 상주군과 함창군이 통합하여 상주군으로 되면서 18개 면을 관할하였고,
1931년 상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 1945년 이후 상주는 정치, 경제, 군사 중심지로서의 위치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1980년 함창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86년 상주읍이 시로 승격된 뒤 나머지 지역이
상주군을 이루고 있다.
1995년 상주군과 상주시가 통합되면서 상주시로 되었다.
* 문화
문화제 - 상주문화원 주최로 매년 10월 하순에 주민의 단합과 협동, 애향심을 고취하며 전통문화를 발전 계승하기 위해 1981년부터 상주문화제를 실시해 오고
있다.
주요 행사로는 민요, 농악놀이, 궁도대회, 문예대회 및 각종 전시회 등이 있다.
민속 - 이 지방 고유의 민속놀이는 없지만 세시에 따라 일반적인 민속놀이가 행하여지고 있다.
정월보름이 되면 남녀노소 모두가 소원을 담아 연을 날리기도 하며 농가에서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농악을 즐겼는데, 명절 뿐
아니라 모심기, 김매기 등과 같은 노역시간에도 농악을 즐김으로써 노역의 고심을 덜었다.
동제 - 이 지방의 동제는 모시는 신의 종류에 따라 국사제, 산신제, 서낭제 그리고 입석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외서면 우산리 등 네 곳에서 모시는 국사제는 천신(天神)에 대한 제사인데,
일년에 한 번 정월 초순부터 15일 이내에 자정을 기하여 지낸다.
이 밖에 입석제는 산간지방에서 지내는 산신제와는 반대로 평야지대에서만 행하여
진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