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시

지리산 자락 맑은 공기와 물, 달빛의 밝은 기운이 가득한 달오름마을로 놀러오세요!

남원달오름마을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가 황산에서 어두운 그믐밤에 달을 끌어올린 마을이라 하여 인월(引月)이라는 지명이 붙여진 인월면 인월리의 구 인월마을과 원평마을이 합쳐져 달오름마을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다. 달오름마을은 흥부전과 달오름을 테마로 한 농촌전통체험마을이다.

남원 황산대첩비지

  •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가산화수길 84 (운봉읍)

  • 문의 및 안내

    문화관광과(문화재) 063-620-6171~2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고려말 왜구의 침입 때 당대의 명장이며 도순찰사였던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무찌른 전쟁터이며 벌판이다. 인월면소재지에서 운봉읍 방면으로 24번 국도를 타고 가다 보면 이 황산대첩비를 만날 수 있다. 전촌마을 버스정류장에서 우회전, 남천이라는 실개천을 건너면 양지 바른 곳에 황산대첩비가 모셔져 있다.

고려 우왕 6년 (1386) 9월, 금강 어귀에서 최무선 등의 공격을 받아 퇴로가 막힌 왜구들은 충청도를 거쳐 함양까지 들어갔다가 다시 지리산을 넘어 운봉 인월역에 주둔하면서 광주를 거쳐 도망치려 하였다. 이에 도순찰사로 임명된 이성계가 군대를 거느리고 퇴로를 막은 다음 신궁이었던 그의 활솜씨로 왜구 장군 아지발도의 투구를 쏘아 벗긴 후 이성계의 의동생 이지란이 벗겨진 이마를 향해 즉시 화살을 쏘아죽였다. 10대 1의 중과부적이었지만, 이성계는 날이 저물자 계책을 써서 밤새 달아나는 왜구 패잔병을 섬멸했다. 이듬해 다시 이곳을 방문한 이성계는 자신과 휘하 장수의 이름을 암벽에 새겼으니 이것이 어휘각이다. 2백년 뒤인 선조 10년 (1577)에는 전라도 관찰사 박계현의 상소에 의해 황산대첩을 기념하는 비석이 현재의 자리에 세워졌다. 그러나 지금 어휘각과 대첩비는 그 잔해만이 남아 있다. 패망을 앞둔 일제는 1943년 전국 경찰에 항일의식을 북돋는 반시국적 유물들을 파괴하라는 비밀지령을 내렸고 어휘각은 1945년 1월17일 새벽에 폭파됐다. 대첩비는 글자를 알아보지 못하게 정으로 쪼은 뒤 조각내 버렸다. 깨어진 대첩비는 현재 전각 안에 고이 모셔진 채 역사의 현장을 증언하고 있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남원 문화관광 http://tour.namwon.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