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강원 양구군
문의 및 안내
양구군청 033-481-2191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살구꽃, 주목, 꾀꼬리를 군의 상징물로 가지고 양구군은 강원도 중앙부에 위치한
군으로 북쪽은 회양군(북한), 동쪽은 인제군, 남쪽은 춘천시, 서쪽은 화천군에 접하고 있다. 내륙산간에 위치한 양구군은 특히, 산수가 수려하고 희귀동식물이 많다.
총 면적은 1,395㎢이며, 이 가운데 민간인출입통제선 이북이 616.73㎢, 이남지역이 778.1㎢로서 동서간의 폭은 31.2km이고 남북간의 길이는 65km이다.
총 인구는 23,599명(2014년 9월 기준)이고, 1읍 4면 77동리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양구읍 하리이다.
* 자연환경
태백산의 여러 연봉들이 남북으로 흐르는데, 동단부는 가칠봉(해발 1,242m), 대우산(해발 1,178m), 도솔산(해발 1,148m)을 연결하는 대암산맥이 남하하여 소양호에 접하고, 중앙부에는 비봉산맥이 있으며 서쪽에는 백석산(해발 1,142m), 사명산(해발 1,198m)을 연결하는 어은산맥이 있어 군 전체가 험준한 내륙 산간지역을 이룬다.
이들 연봉사이로 수입천과 서천이 남류하다가 파로호에 흘러들고, 서북에는 금강산에서 발원한 금강천이 북한강으로 유입하며, 남단부에 소양강이 서류한다.
평야는 양구분지가 비교적 넓고, 그 밖에 하천유역에 곡저평야가 분포하고 있다.
소양댐과 화천댐의 건설로 평야가 많이 물에 잠겨 85%가 호수와 임야지역으로 되어 있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950mm 에 이른다. 3월부터 6월까지는 강수량이 적은
편이고 7월부터 9월 사이는 홍수기에 해당하나 다른 지역에 비해 자연 재해가 거의 없는 살기좋은 고장이다.
기온은 연평균 섭씨27도, 최고 섭씨32.8도, 최저 영하 섭씨19.6도나 되어 근래에는 도 단위 또는 전국 단위의 빙상경기가 개최되기도 한다.
* 역사
고대 - 고구려시대에 요은홀차(要隱忽次)라 하였는데, 757년(경덕16)에 양록군으로 고쳐졌다.
고려 - 양구현으로 고쳐 춘주(지금의 춘천)에 예속되었고, 그 후 다시 양구로 고치고 1106년(예종원년)에 감무를 두었으나 남천(지금의 화천)감무가 겸임했다.
조선 - 1404년(태조13)에 현감을 두게 되고, 1895년(고종32)에 강원도 양구군이
되어 서면, 남면, 하동면, 서동면, 북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상동면의 9개
면을 관할하였다.
근대 - 1914년 군.면 통폐합에 따라 서면과 서동면을 군내면으로, 남면과 하동면을 합하는 동시에 춘천군 북산 외면의 수산리를 병합하여 남면으로, 상동면을 동면으로 고치고 그 나머지 면은 그대로 두어 7개면 85개지로 개편, 1917년 군내면을 양구면으로 개칭하였다.
1940년 화천댐건설로 북면 일부가 수몰됨에 따라 1941년 북면을 폐면하여 양구면과 방산면에 각각 분할, 편입시켰다. 1945년 38도선이 생김에 따라, 남면 일부를
제외하고 전 지역이 공산치하에 강점되었다가 6.25 사변 후 수복되어 1954년 민간정부에 이양과 동시 수입면은 완충지대가 되고, 해안면은 인제군으로 편입되었다.
현대 - 197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해안지역이 다시 양구군 동면으로 편입되면서
해안출장소가 되었고, 1979년 양구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해안출장소가
해안면으로 승격됨으로서 5개 읍면을 관할하게 됐다.
* 문화
축제 - 신라 때 이 지방의 지명에서 유래된 '양록제' 가 해마다 군민의 축제로
열리고 있다.
민속 - 조선 중엽 김현도가 현감으로 왔을 때 시작된 기줄싸움이 있었으나 지금은 학교 운동회, 양록제, 마을단위 체육대회 등에서나 볼 수 있다.
이 밖에 '바랑골농요'와 '산령지게놀이'를 발굴하여 1993년과 1995년에 두
차례나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 전통문화예술을 발굴, 보전하기 위해 양구팔랑민속관을 개관하여 운영하고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