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진도군

구름숲에서 만나는 아름다운 예술

운림예술촌마을

아름다운 예술의 섬 진도를 즐겨보세요.

전남 진도군

  • 위치

    전남 진도군

  • 문의 및 안내

    진도군청 061-544-2181~2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전라남도 서남단 해남반도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동남쪽은 완도군, 동북쪽은 명량해협을 건너 해남군, 서쪽은 서해, 남쪽은 제주해협, 서북쪽은 신안군의 여러 섬들과 접하고 있다. 전체면적은 430.7㎢이며 총인구가 32,746명(2014년 12월 기준)에 이르고 군청소재지는 진도읍 성내리이다.

* 자연환경
소백산맥의 지맥이 남서로 뻗어 해남반도를 이루고, 바다를 건너 이군에 이른다.
진도, 상조도, 하조도, 가사도 등의 섬들은 지질 시대에는 모두 육지에 연결되었던
섬이며, 후빙기의 해수면 상승의 결과 여러개의 섬으로 분리된 것이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첨찰산,여귀산, 덕신산, 지력산, 백야산, 돈대봉 등이 있고, 이들 산지
사이에 좁은 계곡평야와 잔구가 나타난다. 하천으로는 인지천, 석교천, 진도천, 의신천 등이 있다. 기후는 온화한 편이지만 북서쪽으로 개방되어 겨울철에 계절풍의 영향을 직접 받기 때문에 인접해 있는 완도군보다는 다소 추운 편이다.
* 역사
고대 - 백제 시대에는 인진도군이라 하여 영현으로 도산현과 매구리현을 거느렸다. 삼국통일 이후, 인진도군을 진도현으로 고쳐 무안군의 영현으로 하였으며,
도산현은 뇌산군으로 승격·독립되고, 매구리현은 첨탐현으로 고쳐져 뇌산군에
속하였다.
고려 - 940년(태조 23) 뇌산군을 폐지하여 이를 가흥현으로 하고, 첨탐현은 임회현, 진도현은 외이현으로 하여 이들 3현을 속현으로 두는 진도군을 독립시키고, 고성에 치소를 두었다. 1018년(현종 9)에 읍성을 고성에서 용장성으로 옮겼다.
조선 - 1409년(태종 9)에 해남현과 합하여 해진군으로 하였으며 1437년(세종19)에 해남과 분리하여 진도군으로 복귀하였다.
근대 - 1895년(고종 32)에 진도군이 되었으며, 1906년에 명산면을 영암군에, 삼촌면을 해남군에 이속시켰다.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안창, 가좌, 도초면을 무안군에 이속시켰다. 1938년에 진돗개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대 - 1979년에 진도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 조도면 만재도리와 가사도리의 일부가 신안군에 편입되었다. 1984년에 진도대교가 가설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 문화
문화제 - 진도 신비의 바닷길 영등축제가 해마다 펼쳐진다.행사 기간 중에는 바다 열리는 한국판 '모세의 기적'이 일어나는데,고군면 금계리 회동마을 앞에 있는 사당에서 오후 1시 경부터 '뽕할머니'를 신주로 모셔 놓고 거행한다. 이제와 함께 진도 전래의 씻김굿, 다시래기, 남도들노래, 강강술래, 북춤 등 특유의
행사가 이루어진다. 이 행사는 진도 군민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와 외국에서 모여든 관광객들과 함께 어울려 이루어지고 있는 점이 그 특색이다. 한편, 진도평화제는 명량해전이 일어났던 음력 9월 16일에 명량해협(울돌목) 주변에서 열리는 행사로 오랜 옛날부터 전략의 중요성 때문에 왕건과 견훤의 최후 결전, 삼별초 진도정부의 공방전,정유재란시 명량해전 등으로 바닷속에서 숨져간 전사들의
충혼을 달래고 이들의 넋을 씻기고 천도시켜서 인간이 전쟁 때문에 죽음을 당하는 비극을 없애고 인류의 평화를 추구코자 하는 행사다. 행사 기간 중에는 진도 북춤, 살풀이 춤, 씻김굿, 강강술래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시연된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진도군청 http://www.jindo.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