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강원 삼척시
문의 및 안내
삼척시청 033-572-2011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맑고 푸른 동해바다와 서쪽으로 태백산맥의 준령을
경계로 정선군과 태백시가 남쪽은 경상북도의 울진군, 봉화군, 그리고 북쪽은 동해시와 접하고 있다.
총면적은 1,185.83㎢이며, 인구는 72,655명(2014년 11월 기준)이고 행정구역은 2읍 6면 4개동 1개출장소 2개중계소로 이루어져 있다. 시청소재지는 교동이다.
본래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 인제군과 비길만한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 북쪽에 위치한 공업지구 북평읍이 동해시로 편입되고, 서쪽에 위치한 국내 최대 광산지역인 장성, 황지의 2개읍이 묶여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면적이 크게 줄었다.
최근에는 석회석의 풍부한 부존 자원을 토대로 동양 시멘트(주), 라파즈한라시멘트(주) 등
대규모 시멘트 가공공장이 자리잡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등 강원
남부의 광공업 거점도시로 발돋움 하고 있다.
또한 오랜 역사를 지닌 천은사, 신흥사, 영은사와 학문적가치 및 관광적 가치를 아울러 가지고 있는 석회암 동굴인 초당동굴, 대이동굴지대가 있다. 물과 기암절벽이 어우러진 도계읍 심포리 미인폭포, 원덕읍 이천리 이천폭포를 비롯해 맑고 푸른 물을 자랑하는 삼척, 맹방, 궁촌해수욕장 등 크고 작은 해수욕장이 산재해 있어 사계절 관광객이 즐겨 찾는다.
* 자연환경
태백산맥이 동서로 분수령을 이루고 남으로 뻗은 그 지맥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구릉을 이루고 있으며, 지맥이 해안선을 접하고 있으므로 평야지대는 없다. 서.남쪽에서 발원한 오십천이 심한 곡류를 이루면서 동해로 흘러드는데 하안단구가 발달되어 취락과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한반도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태백산맥과 연안 해류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상의 내륙도시 보다 온난한 기후를 형성하고 있다.
여름과 겨울의 연기온 편차가 비교적 적은 편이며, 봄철에는 태백산맥을 경계로 발생하는
푄현상의 영향으로 강풍을 동반한 고온 건조한 기후가 연속된다. 강우량은 평균 1,201mm로
비교적 많은 편이며, 연평균 기온이 섭씨 12도 내외로 1월 평균기온이 서해안 지역보다 섭씨 3.5도나 높다.
가곡천과 마읍천이 동해로 흐르고, 분수령 서쪽으로는 골지천이 북류하며 황지천과 철암천이 남류한다. 해안선은 단조로운 편이나 해식애가 발달되었고 곳곳에 긴 모래톱이 펼쳐져
있어 해수욕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 역사
고대 - 원래 진한의 실직국 혹은 실직곡국이라 불려왔으며, 102년(파사왕 23)에 신라에 병합된 삼척은 468년(장수왕56)에 한때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가, 505년(지증왕6)에
이사부가 수복하여 실직주로 하고 639년(선덕여왕8)에 진주도독부, 658년(무열왕5)에는 북진이라 각각 개명하였다.
통일신라 - 757년(경덕왕 16)에는 삼척군으로 개명하여 태수로 하여금 다스렸다.
고려 - 995년(성종14)에 삼척군은 척주로 승격되고 1018년(현종9) 동계 소속의 삼척현으로
강등되면서 속현이었던 우계현이 강릉부로 이속 되었다.
조선 - 1393년(태조2)에 삼척은 목조의 외향이라하여 부로 승격되었으며, 1413년(태종13)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근대 - 1895년 삼척도호부는 강릉부 관할의 군으로 편제되었다가 이듬해 강원도의 관할을
받게 되었다. 1914년 부내면, 말곡면이 통합되어 부내면으로 불리고 부내면은 1917년 삼척면으로 개칭되었다. 1938년 삼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 1986년 삼척읍이 시로 승격 되었으며, 1995년 삼척군과 삼척시가 통합 되면서 삼척시가 되었다.
* 문화.교육
문화제 - 삼척 죽서문화제가 1973년부터 삼척 죽서문화 제전위원회 주관 하에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개최되고 있으며 삼척 고유민속인 기줄다리기를 주축으로 풍년과 풍어를 기원하는 삼원제,농악,널뛰기, 연날리기, 굿 등의 행사가 치러진다.
민속 - 정월대보름에 하는 기(게)줄다리기를 들 수 있는데, 기줄다리기는 읍상동, 읍중동, 월계동 등지에서 오십천을 중심으로 각각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줄을 당겨 풍농과 풍어를 점친다. 이 놀이는 현재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제 - 근덕면 장호리의 서낭제와 원덕읍 갈남리의 백호 서낭제, 신남리의 해신당제 등이
유명하다.
교육 -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1398년 창건된 삼척향교가 있었다. 향교외에도 경행서원
등이 있어 선인을 배양하고 학문을 힘써 왔다.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7년에 설립한 계동학교가 그 근간을 이룬다. 현재는 삼척시와 주변지역의 광공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된 삼척대학교를 비롯해 고등학교 9개교, 중학교13개교, 초등학교 32개교가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