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별난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74

경기 평택시

  • 위치

    경기도 평택시

  • 문의 및 안내

    평택시청 031-8024-5000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경기도 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안성시와 용인시, 서쪽은 아산만, 남쪽은 충청남도 아산와 천안시, 북쪽은 오산시, 화성시과 접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452,183㎢이며 총 인구가 449,555명(2014년 12월 기준)에 이른다. 3읍 6면 13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청 소재지는 비전동이다.

자연환경
약간의 구릉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이다. 동북부 무봉산, 서북부와 서부에 덕지산, 무성산, 오봉산, 봉화령, 남부에 고등산, 마안산, 중앙에 바람산이 있다.
하천은 안성천과 그 지류인 진위천, 도일천, 도대천, 오산천 등이 중앙부를 남북 또는 동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 역사
고대 - 삼국시대에 이 지역은 백제의 아술현, 고구려의 하팔현에 해당하였으며 고구려 장수왕63년에는 부산현이 설치되었다.
757년(경덕왕16) 부산현을 진위현으로, 하팔현은 팽성현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 940년(태조23)에는 팽성현을 평택현으로 개칭하고, 진위현은 수주에 속하게
하였으며 1172년(명종 2년)에 진위현을 수주에서 분리시키면서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 1398년(태조7)에는 충청도에 속했던 진위현을 경기도로 이속시켰다가 1433년(세종15) 진위와 갈라졌던 송장현을 다시 병합, 평택현의 일부가 천안부에 예속되었다. 그 후 1505년(연산군11) 경기도에 환원되었다가 중종초에 다시 충청도로 예속되었다.
근대 - 1895년 (고종32) 평택현 진위현이 공주부에 예속되었다가, 1896년(고종33)에
평택현. 진위현이 경기도에 이속되었다.
그 후 1914년에 수원군의 15개 면과 평택군의 6개 면이 진위군으로 편입 되었으며,
1926년 병남면이 평택면으로, 1938년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에는
평택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 1963년에는 송탄면, 1977년에는 팽성면이 읍으로 승격 하였으며, 1981년에는
송탄읍이, 1986년에는 평택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전국 시군 통합에 따라 평택시, 송탄시, 평택군이 통합돼 평택시가 되었다.

* 문화
문화제 - 매년 단오날 전후로 소사벌 단오놀이가 거행되고 있다. 이 날에는 씨름과 농악놀이, 그네타기 등을 즐길 수가 있다.

민속 - 이 고장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백중놀이와 경기농악, 평택농악을 들 수
있다.
백중놀이는 음력 7월 15일부터 며칠간 계속되는데, 이 때 농악놀이, 씨름, 그네뛰기, 줄다리기 등이 벌어진다. 한때 전승이 중단되었으나, 평택문화원의 주관하에
다시 재연되고 있다.
경기농악은 음력 정초에 걸궁굿을 시초로 여름(김매기 때)에 두레굿, 백중놀이 때와 추석에 행하며, 그 특징으로는 호남이나 영남농악에 비하여 쇠가락의 단조로운
변화와 가락의 가름쇠가 분명하고 경쾌한맛, 양상모 돌리기의 우수한 기예등이 돋보인다.
평택농악은 경기농악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꽹가리, 징, 장구, 북, 소고, 호적,
나팔로 편성되는데, 징과 북의 수가 적고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동제 - 팽성읍 추팔리의 산신제와 도일동 덕암산에서 지내는 산신제가 유래가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500년전부터 거행되었다는 팽성읍 추팔리의 산신제는, 매년 음력 2월 혹은 3월 중에 말날을 택하여 밤 9시경에 뒷산에 있는 당집에서 거행하는데 동네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5월까지 연기되기도 한다.
도일동 덕암산 산신제는 매년 지내며 음력 정월보름날 저녁 때를 기해 행해진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평택시청 http://www.pyeongtaek.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