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서경들마을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진상미로1178번길 13
마을로부터의 거리 : 0.01km
꾸메숲 버섯나라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서경리 150-1
마을로부터의 거리 : 0.41km
이천 자채방아마을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대월로358번길 168-24
마을로부터의 거리 : 2.35km
노성산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진상미로665번길 241
마을로부터의 거리 : 2.63km
선유동마애불사존불상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선유동길 23-46
마을로부터의 거리 : 2.75km
영창대군묘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 산 24-5
마을로부터의 거리 : 2.82km
이천 도니울 명품쌀마을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대월로667번길 359-3 (대월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3.11km
테르메덴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사실로 988 (모가면)
마을로부터의 거리 : 3.13km
설성산
주소 : 경기 이천시 장호원읍 선읍리 산115-1 일원
마을로부터의 거리 : 4.43km
위치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 산 24-5
문의 및 안내
문화체육관광과(문화재) 031-678-2502
안성 관광안내 031-677-1330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조선 선조의 14명 아들 중 유일하게 정비인 인목왕후가 낳은 아들로 선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던 영창대군의 묘이다. 유영경등 소북파의 지지로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 대신에 세차에 책봉될 가능성도 있었으나 선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이이첨 등 대북파에 의해 왕위에 위협을 주는 인물로 미움을 받았다. 박응서 등 7명의 서출들이 역모를 꾸몄다는 ‘7서의 옥’이 일어났는데, 이들로 하여금 영창대군 추대 음모를 거짓 진술케 하였다. 이 결과 영창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강화부사가 방안에 가두고 장작불을 지펴 그 열기로 죽게 하였다. 1623년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으로 관작이 복구되었다. 조선 시대 왕실의 무덤은 능, 원, 묘로 구별되는데 묘란 일반적인 무덤을 가리키는 말로 왕의 자손이나 후궁, 왕의 아버지인 대원군 등의 무덤을 뜻한다. 영창대군 묘소는 원래 광주군 남한선성 아래에 있었는데 성남시 개발계획에 따라 1971년 8월에 현 위치로 이장되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