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과채류마을은 안성의 남서쪽에 위치하여 수도권과 1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천안과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안성평야와 평택평야의 기름진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는 마을입니다.
안성맞춤쌀은 1999년과 2000년 전국쌀 품평회에서 대상을 차지하기도 했으며, 2002년 제4회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논농사와 밭농사뿐만 아니라 포도의 집산지로 거봉포도의 주생산지입니다.
그 외 작물로는 방울토마토, 오이, 고추, 버섯 등 각종 과채류가 온실을 이용한 재배로 연중 생산되고 있습니다.
주변의 관광지로는 안성천문대와 금광호수, 서운산등이 있습니다.
안성 과채류마을은 도시와 농촌이 조화를 이룬 도농복합형 근교농업으로 육성 발전시켜 풍부한 관광자원을 최대 활용하고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친화형 전원 공간을 제공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농업을 창출해 나갈 것입니다.
안성에서 포도재배는 100년 전 안성 천주교 초대신부 콤벨트가 성당에 심은 것이 시작이었으며, `삼덕포도원'이 안성읍에 자리잡고 마스카트종을 재배한 것을 시작으로 안성시 특유의 고온 건조한 기후가 포도 재배에 적합하여 재배 면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거봉'포도가 소비자의 입맛을 즐겁게 하고 있습니다.
안성지방의 포도의 맛은 신맛이 덜하고 감미로우며 껍질이 얇은데다가 씨도 적어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늦여름에서 초가을에는 입안에서 톡 터지며 입안에 단맛을 쏟아내는 안성포도의 참 맛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안성의 쌀은 미질이 가장 뛰어난 추청(일명:아끼바레)을 재배하고 있고, 종자의 보급부터 품질관리를 하여 좋은 쌀을 생산해냅니다. 안성마춤 쌀은 쌀눈의 유실을 최소화 하여 밥을 지을 경우 차지며 윤기가 선명합니다.
안성쌀은 동쪽으로 남한강 상류인 청미천이 흐르고, 서쪽은 아산만으로 흐르는 안성천과 한천을 이루어 온난하며 공해 없고 물 맑은 천혜의 청결미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제짝이 아니었던 것을 갖다 맞출 때 매우 잘 맞음을 비유하면서 ‘안성맞춤’ 이란 말을 써왔습니다.
그 만큼 어떤 물건이나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릴 때 이런 말을 쓰는데 안성유기는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정성껏 만들어 품질이나 모양등 기교면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충족시켰기에‘안성맞춤’이라는 말이 탄생되었습니다.
안성과채류 마을인 신계리는 안성천 하류에 위치한 고장으로 예로부터 안성평야의 기름진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는 마을이며, 논농사와 밭농사뿐만 아니라 인근의 입장과 함께 거봉포도의 집산지로 유명한 곳 입니다.
인근에는 남사당의 본거지였던 청룡리 마을과 청룡사, 서운산, 금광호수, 칠장사, 죽주산성, 향교 등 찬란한 문화유적이 절경과 같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와 문화의 생생한 현장을 제공하기도 하는, 우수한 농산물과 찬란한 문화유적과 절경이 보존된 농촌을 느끼기에는 그야말로 “안성맞춤”인 마을입니다.
신계리는 안성시청으로부터 10km남서쪽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천안시 성환읍, 천안시 입장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안성천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안성평야, 평택평야의 기름진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는 마을로 논농사와 밭농사뿐만 아니라 포도의 집산지로 인근에 위치한 입장면과 더불어 거봉포도의 주생산지입니다.
고라실 농지로 토지가 비옥한 이곳에서 생산 되는 안성마춤쌀은 1999,2000년 전국쌀 품평회에서 대상을 차지 하였으며, 2002년 제4회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2001년 고품질 경기미 품평회 대상을 수상하는 등 밥맛 좋기로 이름이 높습니다., 또한 주변에 당도가 높고 맛이 좋은 포도가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방울토마토, 오이, 고추등 각종 과채류가 온실을 이용한 재배로 일년내내 생산되고 있습니다.
계절별 주요 프로그램
ㅁ 봄 건강밥상 만들어 먹기, 두부 만들기, 콩 도넛 만들기, 마을 자전거투어, 장 담그기
ㅁ 여름 건강밥상 만들어먹기, 두부 만들기, 콩 도넛 만들기, 마을 자전거투어, 물놀이
ㅁ 가을 건강밥상 만들어먹기, 두부 만들기, 콩 도넛 만들기, 마을 자전거투어, 각종 과일따기, 콩 삶고 메주 만들기
ㅁ 겨울 포도주 담그기, 친환경 배추김치 담그기
ㅁ 연중 천연염색 체험, 버섯따기 체험, 밥상만들기 체험
대상마을 | 가구 및 인구수 | |||
---|---|---|---|---|
읍면동 | 행정리 | 마을명 | 가구 | 인구 |
미양면 | 신계리 | 신계 | 51 | 120 |
계 | 10대이하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
---|---|---|---|---|---|---|
120 | 16 | 6 | 10 | 13 | 30 | 45 |
구분 | 계 | 농ㆍ어 축산업 | 사무직 | 상업ㆍ서비스업 | 노무 | 학생 | 가사 | 기타직종 |
---|---|---|---|---|---|---|---|---|
가구수 | 51 | 38 | 3 | 2 | - | - | 5 | 3 |
인구수 | 120 | 59 | 6 | 5 | - | 16 | 27 | 7 |
학교명 | 학급수 | 학생수 | 교육장현황 | 인터넷 사용회선 종류 및 속도 | |||||
---|---|---|---|---|---|---|---|---|---|
교육장수 | 동시수용인원 | PC보유대수 | |||||||
계 | 486이하 | 팬티엄 | 기타 | ||||||
개정초교 | 6 | 73 | 1 | 16 | - | - | 16 | - | 100.0Mbps |
미양초교 | 6 | 162 | 1 | 30 | - | - | 306 | - | 100Mbps |
시설명 | 소재지 | 규모 및 시설 | 주요활동내용 |
---|---|---|---|
신계리경로당 | 미양면 신계리 | 34평 | 노인 사랑방 |
마을회관 | 미양면 신계리 | 34평 | 「마을정보사랑방」 설치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