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함산하범곡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130

경주시

  • 위치

    경북 경주시

  • 문의 및 안내

    경주시청 054-779-8585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은 포항시, 서쪽은 영천시와 청도군, 남쪽은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동쪽은 동해에 접해 있다. 면적은 1,324.39㎢ 이며 인구는 262,303명(2014년 7월 기준)이다.
행정구역은 4읍, 8면, 11동으로 되어 있으며 시청소재지는 경주시 동천동에 있다.* 자연환경

태백산맥의 지맥인 동대산맥과 주사산맥이 남북으로 주행하여 동서의 경계를 이루며
형산강구조곡과 영천-경주간구조곡이 교차하는 지점에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그곳에 시가지가 발달하였다. 명활산, 금오산, 옥녀봉, 선도산, 금강산
등이 있다.
시가지 서쪽을 남류하는 형산강의 상류인 인천이 서천에 흘러들고, 북천이 중심부를
관통하며, 반원섬을 끼고 도는 남천이 이에 합류하여 형산강 본류를 형성하여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 역사
고대 - 신라의 전신인 사로국이 자리잡고 있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에는 금성, 월성, 계림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수도로서 발전하였다.
고려 - 935년(태조18) 읍호를 경주로 개칭하였으며 940년(태조 23) 대도독부로 승격되었고 종전의 6부 명칭을 고치면서 신라시대의 양주지역을 경주 중심으로
개편함에 따라 경상도의 본영으로 영남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한편 성종
때는 동경이라 고치고 개성,평양과 함께 고려 3경의 하나가 되었으나 1308년(충렬왕34) 계림부로 개정되었다.
조선 - 조선 초기 계림부가 다시 경주로 환원되고, 경상도의 감영은 상주로 옮겼다.
근대 - 1895년 부에서 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896년 경상북도 경주군이 되었다.
1910년 종전의 경주군 읍내지역이 되었다가 1931년 경주읍으로 승격 되었다.

현대 -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 황성리, 용강리, 동천리와 내남면의
답리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된 이래 1973∼1975년에 걸쳐 시역의 확장과
면.동의 일부 통합 개편이 있었다.
1995년 경주시와 경주군이 통합, 경주시가 되었다.
* 문화
문화제 - 전통민속축제로 1962년부터 시작된 신라문화제가 있다.
1983년 이후 주최가 신라문화선양회에서 경상북도로 옮겨지면서 경상북도 종합예술제의 형식을 띠고 활성화되었다. 주요 행사로는 가장행렬, 민속놀이 등
6개 부분 44개로 나누어지며 신라문화제의 부대행사로 전국 국악경연대회, 신라미술대상전 등이 전국 규모로 열리고 있다.
민속 - 이 고장의 특징적인 민속놀이로 가배놀이와 사자놀이를 들 수 있다.
가배놀이의 전통은 신라 유리왕 때의 길쌈놀이에서 비롯되었다. 경주의 6부를 두 편으로 나누어 왕녀 두 사람이 각기 부내의 여자를 거느리고 음력 7월
16일부터 매일 길쌈을 하였다. 8월 보름이 되면 길쌈의 성과를 비교하여 승부를 가린 뒤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사례하며 축제를 벌였다.
사자놀이는 흔히 주지놀이로 일컬어지는데, 이 놀이 역시 신라때부터 시작되었다. 정월 대보름에 사자 모양의 커다란 탈을 쓰고 풍물잡이들과 함께 마을을 돌며 춤을 추고 한바탕 신명을 돋우는데,
이때 쓰는 탈을 주지탈이라고 하며 두 사자가 서로 싸움을 벌인다. 그래서 이 놀이를 흔히 주지놀음 혹은 주지싸움이라고 한다.
동제 - 이 고장의 부락제는 가을 단위로 제의가 이루어지는 동제와,시장의 상인들이
상업의 번영을 위해 주최하는 장굿 형태의 별신이 있다.
장굿으로 행해지는 별신은 봄, 가을 농한기에 매년 한 차례씩 하거나 3년만에 한 차례씩 행해지며 주제자는 지방의 무당들로 구성된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경주시청 http://www.gyeongju.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