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경천로 874
문의 및 안내
예천군 문화관광과(문화재) 054-650-6395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 초간 권문해 선생이 지은 정자, 초간정(草澗亭) *
예천읍에서 928번 지방도로를 이용해, 용문면에
도착해서 용문사로 가는 길에 왼쪽으로 초간정의 입구가 보인다. 수령이 꽤 오래되어
보이는 수림 사이로 거대한 암반 위에 조선시대의 정자 초간정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정자 아래 에는 계곡물이 흐르고 있다. 초간정 정면에 서서 정자를 바라보고 있으면,
선인들의 멋스러움과 자연친화적인 삶의 지혜를 느낄 수 있으며, ‘누가 여기에 정자를
지을 생각을 했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그 인물이 궁금해진다.
초간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을
저술한 초간 권문해 선생이 1582년(선조 15)에 지은 정자로, 그 후손이 중창하였으며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43호로 지정되어 있다. 초간정에서 예천읍 방향으로
내려가면 예천 권씨 종택을 만날 수 있고 반대로 동로 방면으로 올라가면 용문사에
도착 한다.
* 간정의 구조 및 배치 *
정자는 용문면 원류마을 앞 굽이쳐 흐르는 계류
옆 암반 위에 막돌로 기단을 쌓고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에 사각기둥을
세우고 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왼쪽 2칸에 온돌방을 만들어 사방으로
문을 달고, 그 외의 부분에는 대청마루를 깔고 사방에 계자난간을 둘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정자의 현판을 잃고 근심하던 종손이 오색영롱한 무지개가 떠오른 정자
앞 늪을 파보았더니 거기서 현판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