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팜스테이마을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구암길 38 (미대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0.56km
성재서당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길 120 (미대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1.06km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 (도학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1.63km
평광동 사과마을
주소 : 대구시 동구 평광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1.84km
신숭겸장군유적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길 17 (지묘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13km
관음사(대구)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로 535 (도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42km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 (도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5km
백원서원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로 487 (도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52km
신무동마애불좌상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용천로 427 (신무동)
마을로부터의 거리 : 2.56km
측백나무는 사계절 푸르고 잎이 좁은 상록침엽수이며, 키가 높고 가지가 위쪽에서 자라는 교목(喬木)에 속한다.
도동측백나무숲의 면적은 3만 5,603㎡이고, 높이 100m 안팎, 너비 600m 안팎의 절벽에 높이 57m의 10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다. 달성에 자생하는 측백나무는 밑동에서 여러 가지가 나와 마치 관목(灌木)같이 보이기도 한다. 측백나무는 종래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이곳을 비롯하여 경상북도 영양, 충청북도 단양 등 여러 곳에서 자생하고 있음이 밝혀져, 현재 한국을 원산지로 인정하고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예로부터 측백나무를 즐겨 심었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중종34년(1540) 10월 20일 전주 부윤 이언적이 올린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한 상소문의 내용에 <옛날 이덕유가 당나라 무종에게 '군자는
소나무나 측백나무 같아서 홀로 우뚝 서서 남에게 의지하지 않지만, 간사한 사람은
등나무나 겨우살이 같아서 다른 물체에 붙지 않고는 스스로 일어나지 못 한다'> 구절을 인용하여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간하기도 하였다. 영조대왕의 묘지문(1776년)에는 <장릉을 옮겨 모신 뒤에 효종께서 손수 심으신 측백나무의 씨를 옛 능에서 가져다 뿌려 심고 '대개 영릉의 효성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하였으니, 또한 임금의 효성이 끝이 없음을 알 수 있다>하여 묘지의 둘레 나무로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심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