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162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 (도학동)

  • 문의 및 안내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053-606-6171~4

  • 이용시간

    4월~10월 10:00~19:00
    11월~3월 10:00~18:00

  • 쉬는날

    1.1, 설날 및 추석당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 우리나라의 문화의 힘을 알려주는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
2007년 5월 25일 개관한 방짜유기박물관은 전국
최초로 방짜유기를 테마로 한 전문박물관으로 대구광역시가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유산인
방짜유기와 제작기술을 전승.보존하고 지역문화 발전을 도모하고자 건립하였다. 1983년
정부에 의해 국가무형문화재 제 77호로 지정된 유기장 이봉주 선생이 평생 수집 제작한
방짜유기 275종, 1,480점을 무상기증 받아 소장하고 있다.
 
대지면적 17,880㎡(5,409평)에 건축연면적 3,758㎡(1,137평)로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3개의 전시실(755평)과 자료 검색실, 문화사랑방,
영상교육실, 야외공연장 및 기획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장인 유기문화실에서는
우리의 역사와 함께 그 맥을 이어온 유기의 역사와 종류 등 유기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기증실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이봉주 선생의 유기명품이 전시되어
있다. 재현실에서는 유기를 제작했던 공방과 거래했던 놋점을 1:1 인물모형과 자동감지장치가
부착된 작동모형으로 재현해 놓았다. 방짜유기는 세계적으로 기술 보존국이 회귀하며,
방짜유기박물관은 역사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들에게는 훌륭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방짜유기(방자유기)란? *
유기의 종류중 가장 질이 좋은 유기로, 구리와 주석을
78:22로 합금하여 거푸집에 부은 다음, 불에 달구어 가며 두드려서 만든 그릇. 유기의 종류는 제작기법에 따라 방자(方字)와 주물(鑄物),
반방자(半方字) 등이 있다. 가장 질이 좋은 유기로 알려진 방짜유기는 먼저 구리와
주석을 78:22로 합금하여 도가니에 녹인 엿물로 바둑알과 같은 둥근 놋쇠덩어리를
만든다.
이 덩어리를 바둑 또는 바데기라고 부르는데 이것을
여러 명이 서로 도우면서 불에 달구고 망치로 쳐서 그릇의 형태를 만든다. 주물 유기와는 달리 정확히 합금된 놋쇠를 불에
달구어 메질(망치질)을 되풀이 해서 얇게 늘여가며 형태를 잡아가는 기법이다.  이런 기법으로 만들어진 방짜 유기는 휘거나 잘
깨지지 않으며 비교적 변색되지 않을 뿐 아니라 쓸수록 윤기가 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짜는 독성이 없으므로 식기류를 만들 뿐만 아니라 징·꽹과리 같은
타악기도 만든다. 특히 악기는 방짜기술만의 장점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으로 손꼽힌다.

주차시설

있음(소형 30대, 대형 6대)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대구 방짜유기박물관 http://artcenter.daegu.go.kr/bangjja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