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천바리안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56

옥천사(고성)

  • 위치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개천면)

  • 문의 및 안내

    옥천사 055-672-0100

  • 쉬는날

    연중개방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신라의 성인 원효대사와 함께 쌍벽을 이룬 의상조사는 당나라 유학시 그곳 종남산에서 지엄선사로부터 화엄의 오묘한 뜻을 깨닫고 귀국하여 화엄대의를 선양하면서 국내의 영지를 가려 불찰을 많이 세웠는데 그것을 화엄십찰이라고 일컬었고, 옥천사는 그 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창건되었다.
경내에 달고 맛있는 물이 끊이지 않고 솟는 샘이 있어 절 이름을 옥천사라 불렀고, 지금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쌍계사의 말사이다.
본 사찰은 창건 이후 수차례 중창하였으나 조선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완전 소실되었다가 인조 17년(1639년) 학명대사가 대둔리 촌락에서 유숙하다가 신인이 지시하는 곳에
대가함의 도국이 나타나는 영몽을 꾸고 다음날 이곳을 찾아 명당의 절터를 알고 의오대사와
힘을 합하여 7번째의 중창을 시작하였다. 이때 건립한 것으로는 인조 22년 (1644년)에 동상당을 세웠고 같은 23년에 심검당을 세웠으며 효종5년에는 법당과 궁선당을 세우고 현종 5년에는 성요, 승안, 돈계화상 등의 원력으로 정문을 건립하여 그 규모를 확장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옛 신라고찰의 맥을 잇고 면목을 갖추었고, 그 뒤 숙종3년에 묘욱선사가 법화외사를
열고 대중을 모아 묵루각, 향적전, 만월당을 세우고, 다음 해에는 관음전, 청계당, 옥련암을 세웠으며 한해 넘어서는 동상당을 중창하고 그 다음에는 승당과 선당, 정문, 시왕전, 백련암을 중창하였으며 영조 40년에는 자방루를 건립하였으니 이것이 8번째의 중창이다.
임진왜란 이후로 두 번째의 환란을 입은 천년고찰에 구제의 손길을 펴신 분은 화농화상이었고 때는 고종 25년이었다. 화상은 난동으로 황폐해진 경내를 정돈하고 적묵당과 탐진당을 중수하였으며 각 암자도 면목을 일신케 하였는데 옥천사의 오늘을 있게 한 위대한 공이 아닐
수 없다. 이때를 9번째 중창으로 부르고 있다.
사찰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로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495호인 임자명반자와 도지정문화재인 자방루, 향로, 대종, 대웅전 및 소장품 119점과 기념물로 청련암의 찰피나무가 있다.
암자로는 백연암, 청연암, 연대암의 부속암자가 있으며, 옥천사임자명반자, 배불, 옥천사 소장품 등 120여 점의 불교유물의 보관관리를 위한 유물전시관(보장각)이 건립되어 연화산도립공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불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옥천사지는 우리나라에서 3대 기명산지로 임진왜란때 사명대사께서 승병 3000명을 거느리고 옥천사 화왕산성에서 곽재우 홍의장군과 함께 싸운 곳이며 정유재난 때 왜구에 의하여 소실되었다. 현재 옥천사지로 지정된 곳은 옥천사의 암자이며, 신돈대사의 유적지는 유럽사학자들이 자주 찾는 곳이기도 하다. 

체험안내

[템플스테이]



(당일형) 잠깐의 휴식... 그것은 삶의 풍요로움

- 사찰에 당일로 머물면서 사찰내의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암자순례, 숲길걷기,108소원주만들기, 연등만들기 등 사전 협의를 통해 체험가능



(휴식형)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보자

- 고즈넉한 사찰에서 자유롭게 자신만의 시간으로 마음의 휴식을 얻는 프로그램



(체험형) 수행자의 삶을 느껴보자

- 사찰의 문화와 예불, 명상, 108배, 포행 등 스님들의 삶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



예약 문의) https://www.templestay.com/

  - 템플스테이 사무실 055-672-6296

주차시설

있음

유모차대여 여부

불가

애완동물 가능 여부

불가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