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속리산면)
문의 및 안내
법주사 043-543-3615
이용시간
일출시~일몰시까지
쉬는날
연중무휴
신용카드 가능여부
가능
신라시대 문화를 현대에 만나다, 법주사속리산에 있는 법주사는 1400년전 신라에 불교가
들어온 지 24년째인 진흥왕 14년(서기 553년)에 의신조사가 창건됐다. 이후 776년
진표 및 영심 스님 대에 중창을 하였으며, 주선조 중기에 이르러서는 60여 동의 건물과
70여 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찰로서 위용을 떨치게 되었다. 하지만 임진왜란으로 인해
사찰의 거의 모든 건물이 전소되었지만 1624년 인조 2년에 이르러 벽암 스님에 의해
또다시 중창을 하게 되었다.
경내에는 우리나라 3대 불상전 가운데 하나인 대웅보전(大雄寶殿)을
중심으로 용화전, 원통보전, 명부전, 능인전, 조사각, 진영각, 삼성각 등 8개의 전각과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종고루, 부도전 등 5개의 부속건축물, 그리고 선원, 강원,
염불원 등 3개의 원과 또한 염화당, 용화당, 미룡당, 응주전, 사리각, 종무소를 포함한
10여 채의 요사채들이 남아 있어 도합 30여동의 건물이 조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주요문화재의 보물창고, 법주사의 주요 문화재!!!팔상전(국보 55호)은 5층 목탑으로서 우리나라 목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팔상전은 신라 진흥왕 때에 의신이 세웠고, 776년
병진이 중창하였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1605년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팔상전은 1984년에 쌍봉사의 대웅전으로 쓰이고 있던 3층 목조탑이 소실됨으로써
한국 목조탑의 유일한 실례가 된 중요한 건축물로 전체 높이가 상륜까지 22.7m 이며
현존하는 한국의 탑파중 제일 높은 것이다.
석연지(국보 64호)는 8각의 지대석 위에 3단의 굄과
한층의 복련대를 더하고 그 위에 구름무늬로 장석을 놓아 거대한 석련지를 떠받쳐
마치 연꽃이 구름 위에 둥둥 뜬 듯한 모습을 조식한 걸작품으로 8세기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고 있다. 괘불(보물 1259호)은 법주사 대웅보전 내에
소장되어 있는 대형불화로 1966년에 화성하였는데, 이 불화는 천장보살 즉 노사나
불화로 적, 록, 황, 청색의 색채가 곱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사천왕 석등(보물 15호)은 신라의 전형적인 팔각석등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조각수법으로 보아 혜공왕(765-780재위)대에 진표율사가 법주사를
중창하던 때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쌍사자 석등(국보 5호)은 신라 석등 중 뛰어난 작품중의
하나로 그 조성년대는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등의 간주석을 석사자로
대치한 이 석등은 전형양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8각의 지대석 위에 하대 연화석과
쌍사자 연화대 방석을 모두 하나의 돌에 조각한 것으로 다른 석등에 비해 화사석과
옥개석이 큰 것이 특징이다.
[ 템플스테이 ]
(휴식형) 다~잘될거야
- 자기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 스스로 위로하며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프로그램
(체험형) 울화통캠프
- 불교문화탐방, 공양, 불교사물관람, 나눔을 통한 행복줍기 & 뮤직테라피, 촛불아래 마음 내려놓기, 나를 깨우는 108배, 자연에 말걸기, 스님과의 차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예약 문의) http://beopjusa.templestay.com/
- 템플스테이 사무실 043-544-5656
법주사 옆 사설주차장 있음
없음
불가
법주사 http://www.beopjusa.or.kr 법주사(템플스테이) http://beopjusa.templest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