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162

경북 경산시

  • 위치

    경북 경산시

  • 문의 및 안내

    경산시청 053-811-2231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은 대구광역시, 남쪽은 청도군, 동쪽은 영천시,
북쪽은 군위군과 접하고 있으며, 대구의 위성 도시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전체 면적은 411.75㎢이며 총 인구는 258,428명(2014년 9월 기준) 시청소재지는
중방동이다.
* 자연환경

대구분지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남쪽과 북쪽은 산지를 이루고 중앙부에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북부산지는 팔공산의 연장부이고, 중앙부의 평야지역은 금호강과 그 지류의 퇴적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금호평야로 경상북도 제일의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다. 남부산지는 태백산맥이 서쪽으로 갈라져 형성되었으며, 산지의 동, 남, 서 3면은 금박산, 구룡산, 선의산, 용각산, 삼성산, 동학산, 성암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은 금호평야로 넓게 트였다.

* 역사
고대 - '압독국'이라는 부족국가였다가 신라에 병합된뒤 압량주가 되었고, 삼국통일후 757년(경덕왕16) 장산군으로 고쳐 부르고 하양현과 자인현을 이에 속하게 하였다.
고려 - 940년(태조23) 장산현, 하양, 구사부곡이 설치되었으며 장산현은 1018년(현종9) 경주에 속했다가 공양왕때 군이 되었다. 995년 (성종14)에 하주자사를 두었던 하양은 현종때 경주 속현으로 되었으며, 본래 신라의 노사화현에서 개명된 자인현은 장산군에 속해 있다가 현종 때 경주 속현이 되었다.
조선 - 조선 초기 지방 제도의 정비에 따라 경산에는 현령, 하양에는 현감을 두었고, 자인은
경주부의 속현으로 존재하였다. 그후 1601년 (선조34)에 대구에 감영이 설치됨에 따라 경산이 하양과 함께 대구부에 속했다가 1608년(선조41) 복구되었다. 한편 자인현은 1633년(인조11) 독립하게 되었으며 구사부곡은 1653년(효종4) 경주에서 자인현에 합속되었다.
근대 - 1895년(고종32) 종래의 현이 모두 군으로 바뀌었고, 1914년 하양군.자인군과 신령군의 남면 일부를 병합하여 경산군이 되었다.
현대 -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안심읍과 고산면이 분리되어 나갔다. 1995년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되면서 경산시가 되었다.
* 문화
민속- 이 지방의 민속놀이로 자인단오·한장군놀이가 있는데, 한장군놀이는 여원무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여원무는 신라 말 또는 고쳐 초기에 고을민을
괴롭히던 왜군을 한장군 오누이가 꽃관을 쓰고 여자로 가장하여 추었던 춤이다.
단오 때에는 이 행렬로 한장군이 진을 쳤던 곳까지 가서 여원무를 추고는 한장군 사당으로 가서 제사를 올린 다음 다시 고을원에게 여원무를 보이고 해산한다. 이 한장군놀이는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제- 용성면 곡란리, 당리, 고죽리와 남산면 사월리, 와촌면, 신한리, 강학리 등 여러 곳에서 부락제를 지내며 그 형태는 대동소이하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경산시청 http://gbgs.go.kr

닫기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