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경기도 여주시
문의 및 안내
여주시청 031-883-2114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경기도의 최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강원도 원주시, 서쪽은 이천시, 광주시, 남쪽은 충청북도 음성군과 충주시, 북쪽은 양평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면적은 607.9㎢이며 인구는 109,469명(2013년 9월 기준)이다. 2013년 여주군에서 여주시로 승격되었다.
* 자연환경
북쪽에는 양자산의 산지가 동서로 뻗어, 광주군과의 경계에 천덕봉이,양평군과의 경계에는 고래산, 파사산 등이 솟아 있다. 한강은 강원도와의 경계에서 섬강, 남서부 평지를 흐르는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북부 산지에서 발원하는 금당천 등을 합치며 북서방향으로 군의 중앙부를 관류하며 여주시를 강남과 강북으로 나눈다.
* 역사
고대 - 초기에는 백제의 요충지였다. 광개토대왕 때 잠시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다시 백제에 속하기도 하였으나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475년 (장수왕63) 고구려의 영토에 속하여 골내근현이 되었다. 그 뒤 신라의 영토에 속하였다가 경덕왕 때에는 황효라
불렸다.
고려 - 940년(태조23) 황려현으로 고쳐졌고,1018년(현종9) 강원도 원주 임내에 속하였다가, 1031년 (현종22) 다시 경기도로 복구되었다. 고종 때 영의로, 1305년(충렬왕31)
여흥으로 고치고 현에서 군으로 승격되어 지군사를 두었다. 1388년(우왕14) 군에서 부로 승격되어 황려라 하였다가 1389년(공민왕1) 여흥군으로 강등되었다.
조선 - 1401년(태종1) 다시 부로 승격되었고, 음죽현의 어서이촌이 여흥군에 병합되었다.1413년(태종13)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469년(예종1) 여흥에 병합되면서 목으로 승격되었다.천령현은 1018년(현종9) 광주에 예속되어 감무를 두었다가 1413년(태종1) 현으로 되었고, 1469년(예종1) 고을을 없애 면서 여주에 병합되었다.
근대 - 1895년 목에서 군으로 강등,충주부의 속군이 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로 환원되어 3등군으로 되었다. 1914년 원주의 지내면과 서면이 여주시에 편입되었고, 주내면이
여주면으로 개칭되면서,북내, 강천, 흥천,능서, 금사, 개군, 가남, 점동, 대신등 10개
면이 되었다. 1941년 여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 1963년 개군면이 양평군에 편입되었고 1970년 금사면 산북출장소가 설치되었다가 1989년 산북면으로 승격 분리되었다.
* 문화
문화재 - 세종의 업적과 얼을 기리기 위하여 행해지는 세종문화 큰잔치는 1960년 한글학회에서 한상억의 제의로 결정된 뒤 여주, 수원, 인천 등지에서 한글 백일장, 시화전,
서예전, 여주 영릉능전 기념식 등이 거행되어왔다. 행사 내용은 전야제인 원찰의 밤과
본행사인 길놀이 '가장행렬'로 나뉘어진다.
민속 - 흔암리쌍룡거줄다리기, 여주답교놀이, 해촌 낙화놀이 등이 있는데, 그 중 쌍룡
거줄다리기는 흔암리, 강천면 굴암리 등 12개 마을 사람들이 정월 대보름에 모여 줄다리기를 하며 그 해의 풍년과 태평성제를 기원하는 것이다.또한 이 놀이는 수로 교통의
요충지였던 시절 도처에서 몰려온 뱃사람들이 얼어붙은 강물이 풀리기를 기다리면서 이
마을에 머무를 때 행하던 중요한 행사이기도 하였다.
동제 - 흥천면 내사리와 점동면 처리 등지에 산신제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흥천면 효지리와 금사면 이포리 마을은 지금도 매년 10월 상달에 날을 가려서
낭당에서 동제를 지내며 마을의 무사 태평과 풍년에 감사하고 있다.
없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