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자채방아마을 주변관광지

* 거리 30km 이상 검색시
다소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전체 : 63

경기 이천시

  • 위치

    경기도 이천시

  • 문의 및 안내

    이천시청 031-644-2000

  • 신용카드 가능여부

    없음

개요

이천시는 경기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시로, 동쪽은 여주시, 서쪽은 용인시, 북쪽은 광주시, 서남쪽은 안성시, 그리고 남쪽은 충청북도 음성군과 인접해 있다.
면적은 461.23㎢이며 인구는 206,150명(2014년 8월 기준)이다.
2읍 8면 4동이 있고, 시청 소재지는 이천시 중리동이다.

* 자연환경
광주산맥의 줄기가 뻗어내려 북부에 구릉을 만들고 남쪽은 차령산맥에 연접되므로 북쪽과 서쪽이 산맥들로 이루어져 있고, 동쪽과 남쪽은 차차 낮아진다.
중앙부에는 이천의 주천인 복하천과 그 지류가 북쪽 또는 동북쪽으로 흘러, 여주시로 향하다가 남한강으로 들어가며 동남부에는 청미천이 백족산을 끼고 휘돌아 북쪽으로 흐르면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루고, 이 밖에 석원천, 양하천도 이천의 젖줄이 된다.
* 역사
고대 -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남천현이었으며, 568년(진흥왕29) 신라에서 남천주를 설치하였다. 경덕왕 때 황무현으로 개칭되어 한주에 속하였다.
고려 -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치러갈 때 이천에서 진을 치게 되었는데, 이때 주민 서목이 "이섭대천(利涉大川 : 강을 건너감이 이롭다)" 이라 하며 남천을 무사히 건너게
하였다 하여 비로소 이천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257년(고종44) 영창현으로 고쳐졌으며, 1389년(공양왕1) 다시 남천현이 되었다.
조선 - 1413년(태종13) 음죽현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근대 - 1895년 이천은 부에서 군이 되었으며, 음죽현과 더불어 충주부 관내에 들어갔다. 현재의 이천시는 1914년에 정해진 것으로 음죽현이 이천군에 통합된 것도 이때였다. 1938년 10월 이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41년 첨미면이 장호원읍으로 승격되었다.
현대 - 1966년 대월면에 초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문화
축제 - 매년 9월~10월경 이천도자기축제가 개최된다. 매년 새로운 테마를 선정하여 호기심을 채울 수 있는 분야를 마련하고, 세계 각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아름다운
예술작품을 만날 수 있다. 관광객들이 직접 참여하여 도자기를 빚거나 전통가마에 불을 지펴 볼 수도 있다. 축제기간동안 도예작품전, 할인시장운영, 도예교실 개설 등이
있다.

문화제 - 매년 이천 시민의 날인 10월 8일을 전후하여 열리는 설봉문화제가 있다.
도예문화의 보급과 발전을 목적으로 한 도자기 축제가 중심을 이루며 옛날 궁중에 진상미로 유명한 '이천쌀' 의 고장이라는 농촌 지역의 특성을 살린 풍년제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 그네타기, 씨름, 널뛰기, 제기차기, 농악경연, 국궁대회와 설봉음악제 등의 행사가 펼쳐진다.
민속 - 이 고장의 거북놀이가 기능보유자 김종진에 의하여 그 원형이 재연된 이래 이천거북놀이로 유명해졌다.
8월 한가윗날 밤 대에 수숫잎과 가시풀, 짚을 엮어 만든 거북 한 마리를 중심으로 수숫잎과 각시풀로 이엉을 엮어 만든 옷을 입은 질라아비, 농기, 영기, 용기 등 깃발잡이와 풍물재비 등 35-40 명으로 편성되며, 보름달이 떠오르면 거북에 대하여 치성을
드림으로써 시작된다.
동제 - 유래가 오래된것으로 추정되는 신둔면 지석리 소당산과 마장면 장암리의 산신제가 격년제로 짝수의 해에 치러지며, 보통 음력 2월 초하룻날 자정을 기하여 행하여
진다. 산중턱의 넓은 바위를 '성암'이라 하여 제단으로 쓰는데, 소 한마리를 통째로
바치는 등 제무와 절차가 엄격하다.
부발읍 수정리와 호법면 후안리의 우물굿은 매년 정월 초하루 밤 1시 경에 행해지며,
이는 기우제를 지내던 풍습이 마을 공동 우물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으로 바뀐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유모차대여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홈페이지

이천시청 http://www.icheon.go.kr

닫기버튼